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키드(Wicked)가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by 라혜윰 2025. 3. 12.

우정과 배신, 선과 악의 경계, 권력과 진실을 탐구하는 작품

위키드(Wicked)는 2024년 11월 22일에 개봉한 작품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아온 동명의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원작으로 란 작품으로 이 영화는 '오즈의 마법사' 이야기의 이전 이야기(프리퀄)를 다루며, 엘파바와 글린다의 우정과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오즈의 마법사'가 등장하기 전 서쪽마녀 엘파바와 착한 마녀 그린다의 이야기로 초록색 피부 때문에 차별받던 엘파바가 어떻게 '사악한 마녀'로 불리게 되었는지를 중심으로 우정과 배신, 선과 악의 경계, 권력과 진실을 탐구하는 작품입니다.

 

위키드(Wicked)는 두 편으로 나뉘어 위키드(Wicked) 파트 1은 2024년 개봉되었고, 위키드(Wicked) 파트 2는 2025년 개봉될 예정입니다.

 

위키드 (Wicked) 파트1

1. 주요 등장인물

  • 엘파바 (신시아 에리보) – 초록색 피부를 타고난 강력한 마법사. 차별받으며 자랐지만, 정의감이 강합니다.
  • 글린다 (아리아나 그란데) – 아름답고 인기 많지만, 점차 성장하는 인물. 후에 ‘착한 마녀’로 불리게 됩니다.
  • 피에로 (조너선 베일리) – 두 여주인공과 얽히는 매력적인 왕자.
  • 마담 모리블 (미셸 여) – 마법학교의 교장. 오즈의 마법사와 공모하여 엘파바를 이용하려 합니다.
  • 오즈의 마법사 (제프 골드블럼) – 실은 평범한 인간이지만, 대중을 속이며 권력을 유지하는 인물.

2. 줄거리(스포일러 포함)

위키드(Wicked) 파트 1

엘파바는 선천적으로 녹색피부를 가지고 태어나, 사람들로부터 차별을 받으면서 자랍니다.  여동생 네 사 로즈를 돕기 위해 마법학교인 쉬즈대학에 동행한 엘파바는 우연히 마법학교 교장 마담 모리블의 눈에 띄어 입학하게 됩니다.

 

학교에서 인기가 많은 글린다와는 처음에는 티격태격하지만 점차 우정을 쌓아갑니다.

 

엘파바는 오즈의 동물들이 점점 말을 잃고 점점 말을 잃고 억압을 받는 것에 불의를 느끼고  마법실력을 인정받아 오즈의 마법사를 만나서 해결하려고 하지만 마법사가 실제로는 거짓과 선동으로 오즈를 지배하는 사기꾼임을 깨닫고 마법사가 동물들을 조종하기 위해 엘파바의 능력을 이용하려고 하자 반기를 들고 도망칩니다.

이 과정에서 강렬한 명곡 "Defying Gravity"(중력을 거스르며)를 부르며 하늘로 날아오르고, 오즈에서는 그녀를 ‘사악한 마녀’로 낙인찍히고 도망자의 삶을 살게 됩니다.

위키드(Wicked) 파트 2 (2025년 개봉) -  '사악한 마녀'가 된 엘파바의 운명과 선택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3. 영화가 주는 시사점과 메시지

  • 선과 악의 경계 - 우리가 알고 있는 오즈의 마법사 속의 '사악한 마녀'는 실제로는 억울한 희생자였듯이 역사는 누가 쓰느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 사회적 차별과 편견 - 녹색피부를 가진 엘파바는 다름으로 차별을 받는 존재로 현대사회에서의 소수자나 사회적 약자가 겪는 불평들을 떠 올리게 합니다.
  • 권력과 선전(거짓과 진실) -오즈의 마법사는 거짓 선동을 통해 오즈를 통치하고 대중을 조종합니다. 현실에서도 미디어를 통해 정치권력이 어떻게 대중을 기만하는가를 보여줍니다.
  • 진정한 우정과 성장 - 엘파바와 글린다는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가졌지만 우정과 이해를 통해 성장하고 함께 할 수 없더라도 서로를 인정하는 우정을 보여줍니다.
  • 자기 운명을 개척하는 용기 - 엘파바는 자신의 신념을 위해 권력에 맞서 싸우고 "나는 더 이상 남이 시키는 대로 살지 않겠다"라고 선언합니다. 남들이 정해준 길이 아닌 자신만의 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줍니다.

위키드(Wicked)는 2024년과 2025년 두 편으로 나뉘어 개봉할 뮤지컬 영화로 화려한 비주얼과 강력한 음악으로 감동적인 스토리가 있는 영화입니다.

단순한 판타지 마법이야기가 아닌 진실과 거짓, 우정과 배신, 사회적 편견, 권력의 본질을 탐구하는 작품으로 타인으로 인해 억울한 희생자가 될 수 있는 차별과 편견등을 다루며 현대 사회에서의 소외된 이들에 대한 시대적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