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에놀라 홈즈(2020) 넷플릭스 오리지널 셜록 홈즈의 세계관 확장

by 라혜윰 2025. 3. 21.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에놀라 홈즈'(2020)는 셜록 홈즈의 여동생인 ‘에놀라 홈즈’를 주인공으로 한 신선한 탐정 영화입니다. 넨시 스프링어(Nancy Springer)의 동명 소설 시리즈를 원작으로 하며, 여성 중심 서사와 청소년 탐정 이야기의 조합이 특징입니다.

독립적인 여성 주인공을 내세운 성장 드라마로 기존의 셜록 홈즈의 세계관을 확장하면서도, 신선한 시작이 더해 현대적인 감성을 반영한 했습니다.

원작 '셜록 홈즈'의 팬들이라면 다소 이질적일 수 있고 단순한 전개와 예측 가능한 스토리가 단점이지만, 여성 중심의 탐정영화로 유쾌하고 가벼운 톤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작품입니다.

 

넷플리스 오니지널 영화 '에놀라 홈즈'(2020)

 

1.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에놀라 홈즈'(2020)의 주요 캐릭터

  • 에놀라 홈즈 (밀리 바비 브라운) - 기존의 여성상을 벗어나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는 똑똑하고 용감한 독립적 성격의 인물로 유머감각과 직감이 뛰어나 문제 해결 능력이 탁월합니다.
  • 셜록 홈즈 (헨리 카빌) - 여동생 에놀라를 존중하며 그녀의 지능을 인정하는 다정한 면모를 보입니다.
  • 마이크로프트 홈즈 (샘 클라플린) - 에놀라의 큰오빠로 보수적인 가치관을 지닌 인물로 여성의 독립을 반대하며, 에놀라를 기숙학교로 보내려고 합니다.
  • 유도리아 홈즈 (헬레나 본햄 카터) - 여성 참정권 운동가로 에놀라에게 자유로운 사고방식을 가리키지만 급진적인 목표를 위해 딸을 떠나야 하는 인물입니다.
  • 튜크스베리 후작 (루이스 패트리지) - 자유롭고 개방적인 사고를 지닌 젊은 귀족으로 전형적인 남성보호자가 아니라 에놀라의 도움을 받는 인물입니다.

2.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에놀라 홈즈'(2020) 주요 줄거리(스포일러 포함)

1884년, 에놀라 홈즈는 셜록 홈즈와 마이크로프트 홈즈의 막내 여동생입니다. 어머니 유도리아 홈즈는 자유로운 사고방식과 다양한 생존 기술을 가르치며 에놀라를 독립적인 여성으로 키웁니다.
하지만 어느 날, 유도리아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마이크로프트는 그녀를 보수적인 기숙학교로 보내려고 해서 에놀라는 어머니 유도리아 홈즈를 찾기 위해 도망을 쳐 런던을 향합니다.

 

런던을 향하던 기차에서 도망자 신세인 젊은 귀족, 튜크스베리 후작을 우연히 만나고 그가 생명의 위협을 받고 있음을 알게 되고 도움을 주게 됩니다. 

에놀라는 런던에 도착해서 두 가지의 사건에 직면하게 됩니다. 어머니의 실종과 튜크스베리 후작의 암살 위험을 밝히기 위해 탐정 활동이 시작됩니다. 탐정 활동 과정에서 어머니가 여성 참정권 운동가라는 것과 어머니가 혁명을 준비하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또한 급진적인 혁명적인 젊은 귀족인 튜크스베리 후작의 암살로부터 구합니다.

 

셜록 홈즈가 그녀를 자신의 보호 아래 두려고 하지만, 에놀라는 독립적인 삶을 선택하며 "나는 나만의 길을 갈 것이다"라고 선언합니다. 에놀라는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는 독립적인 여성으로 성장합니다.

3.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에놀라 홈즈'(2020)의 주요 테마 분석

  • 여성의 독립과 주체성 - 에놀라는 전형적인 여성상(수동적이고 보호받는 존재)을 거부하고, 자신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는 당시 빅토리아 시대 여성들이 억압받던 현실과 대비되며, 현대 페미니즘적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 가족과 개별성 - 영화는 홈즈 가문의 일원이면서도 독립적인 길을 찾으려는 에놀라의 갈등을 강조합니다. 셜록은 점차 그녀를 인정하지만, 마이크로프트는 여전히 보수적인 가치관을 고수합니다.
  • 셜록 홈즈 세계관의 확장 - 셜록 홈즈 이야기는 항상 명석한 남성 탐정 중심으로 전개되었지만, 에놀라 홈즈는 여성 탐정의 시각에서 사건을 풀어나갑니다.

4.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에놀라 홈즈'(2020)의 연출 기법 및 스타일 분석

  • 4차 벽 깨기 (Breaking the Fourth Wall) - 에놀라가 직접 카메라를 바라보며 관객에게 말을 거는 연출 기법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관객과의 친밀감을 형성하고, 주인공의 심리 상태를 더욱 직접적으로 전달합니다.
  • 빅토리아 시대의 재현 - 의상, 소품, 배경 등이 19세기 영국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며,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합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밝고 활기찬 분위기를 유지하여 무겁지 않은 톤을 유지합니다